도시생물20 도시에서 꿀벌을 기르는 이유 ( 양봉과 생물다양성의 놀라운 연결고리) ‘도시에서 꿀벌을 키운다고?’ 처음에는 다소 낯설게 들릴 수 있다.그러나 최근 서울, 뉴욕, 도쿄, 파리 등 세계 곳곳의 도시에서 ‘도시 양봉(Urban Beekeeping)’이 확산되고 있다. 이는 단순히 꿀을 얻기 위한 활동이 아니라, 도시 생물다양성을 회복하고 생태계를 살리는 새로운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꿀벌은 식물의 꽃가루를 옮겨주며 수분을 돕는 ‘수분매개자(Pollinator)’다.이들이 도시에 자리 잡고 활동하면 꽃이 피고, 식물이 자라며, 곤충과 조류 등 다른 생물들의 생존 기반이 마련된다.이 글에서는 도시 양봉이 어떻게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는지, 그리고 우리가 왜 도시 한복판에 꿀벌을 위한 자리를 만들어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1. 꿀벌은 왜 생태계에서 중요한가?꿀벌은 전 세계 .. 2025. 7. 23. 누구나 자연을 기록할 수 있다 (시민이 함께 만든 생물다양성 데이터) ‘생물다양성’이라고 하면 전문 생물학자나 환경단체의 영역으로 여겨지기 쉽다. 그러나 최근에는 일반 시민들이 직접 참여해 생물을 관찰하고, 기록하고, 데이터를 공유하는 ‘시민과학(Citizen Science)’ 활동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누구든 도시 속 생물을 발견하고, 사진을 찍고, 위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작은 행동들이 모여 도시 생태계의 건강성과 생물다양성 현황을 파악하는 소중한 자료가 된다.이 글에서는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시민 참여형 생물다양성 관찰 프로젝트 사례를 소개하고, 왜 지금 우리가 ‘자연의 기록자’가 되어야 하는지를 이야기해본다. 1. 시민참여 생물 관찰, 왜 중요한가?환경 문제는 점점 지역적이고 일상적인 문제로 다가오고 있다.전문가.. 2025. 7. 23. 도시의 잠든 시간, 새벽에 깨어나는 생물들의 비밀스런 움직임 대부분의 사람들은 도시가 조용해지는 ‘심야’나 ‘새벽’ 시간대를 그저 휴식과 정적인 분위기의 시간으로 여긴다.그러나 이 시간대는 도시에 사는 다양한 생물들에게는 가장 활발한 활동 시간이기도 하다.특히 도시의 소음과 빛이 줄어드는 새벽에는 야행성 생물과 새벽형 활동 생물들이 움직이기 시작하며, 이들은 낮에는 전혀 볼 수 없는 행동과 패턴을 보인다.도시는 잠들었지만, 생태계는 깨어나는 시간.이 글에서는 도시 속에서 새벽에 활동하는 주요 생물들과 그 생태적 의미, 그리고 이들이 도시 생물다양성에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관찰자적 시선으로 살펴본다. 1. 왜 새벽 시간대에 생물들이 움직일까?도시 생물 중 상당수는 야행성 혹은 여명형(Crepuscular) 활동 특성을 가진다.이들이 새벽을 선호하는 이유는 다음.. 2025. 7. 21. 가로수가 바뀌면 곤충도 바뀐다? 도시 곤충 다양성에 영향을 주는 나무의 비밀 도시 거리를 따라 일렬로 늘어선 가로수는 단순히 미관을 위한 조경 요소처럼 보일 수 있다.하지만 이 가로수는 곤충들에게는 단순한 나무가 아닌 ‘서식지’, ‘먹이처’, ‘이동 경로’로 기능하는 도시 생태계의 중요한 구성 요소다.그런데 가로수의 종류에 따라 도시에서 살아가는 곤충들의 종류와 개체 수가 달라진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특히 도시의 생물 다양성을 고민할 때, 우리는 '어떤 나무를 심을 것인가'라는 문제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이 글에서는 가로수의 수종이 곤충 다양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왜 '예쁜 나무'보다 '생물과 잘 어울리는 나무'가 더 중요해지고 있는지를 구체적인 생태적 관점에서 분석해본다.1. 가로수는 도시 생물의 핵심 생태 인프라가로수는 도심에서 가장 넓게 분포된 ‘연속된 .. 2025. 7. 20. 도시 한가운데의 생태 허브, 인공습지와 생물다양성의 연결고리 습지는 오랫동안 ‘쓸모없는 땅’으로 여겨져 왔다.개발 대상 1순위였고, 도시화의 과정에서 가장 먼저 사라지는 공간이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습지가 가진 생태적 가치를 재조명하며, 도시 환경에서도 ‘인공습지(Constructed Wetland)’를 조성하려는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인공습지는 단지 수질 정화 기능만을 담당하는 시설이 아니다. 이 공간은 도시에서 사라졌던 다양한 생물들이 다시 돌아오는 생물다양성 회복의 핵심 인프라로 작동한다. 물, 식물, 미생물, 곤충, 조류, 양서류 등이 어우러진 인공습지는 도시 한가운데에서도 자연 생태계가 순환하는 작은 우주다.이 글에서는 인공습지가 어떻게 도시 생물다양성과 연결되는지를 구조적으로 살펴보고, 도시계획 속에서 왜 인공습지가 필수적인 공간인지.. 2025. 7. 20. 버려진 공터, 도시 생물다양성의 비밀 공간 도시에서 ‘버려진 공간’은 종종 무관심의 대상이다.건물과 건물 사이 비어 있는 공터, 철거된 부지, 쓰레기가 쌓인 자투리 땅은 흔히 ‘쓸모없는 땅’으로 간주된다. 하지만 이 공터들이 생태학자에게는 전혀 다르게 보인다. 사람의 간섭이 적고, 개발이 멈춘 그 공간은 의외로 다양한 생물들이 모여드는 생태적 핫스팟이다. 이른바 ‘도시 속 비의도적 생물 서식지’로서 공터는 도시 생물다양성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이 글에서는 우리가 평소 무심코 지나치는 버려진 공터가 왜 도심 생물다양성의 숨은 보고인지, 어떤 방식으로 도시 생태계에 기여하고 있는지를 깊이 있게 살펴본다. 1. 공터는 왜 생물에게 매력적인 공간일까?사람이 관리하지 않는 공간은 생물에게는 기회의 땅이다. 잔디를 깎지 않고, 제초제를 뿌리지 .. 2025. 7. 19.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