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생물

도심 공원 속에서 만나는 토종 곤충들

info-blog-note 2025. 7. 14. 08:00

아파트 숲과 콘크리트로 둘러싸인 도시에도 놀랍도록 다양한 토종 곤충들이 살아가고 있다.

도심 공원은 그들의 마지막 피난처이자 새로운 진화의 공간이다. 우리가 그 곤충들을 알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보이지 않지만 함께 살아가는 이웃들

도심 한복판, 사람들로 북적이는 공원 잔디밭이나 벤치 아래에서도 수많은 곤충들이 조용히 살아가고 있다.
곤충은 보통 농촌이나 산림에 주로 서식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도심 공원, 학교 운동장, 가로수 아래, 심지어 아파트 단지의 정원에서도 다양한 곤충들이 관찰된다.

특히 도심 공원은 도시 생물다양성의 거점 역할을 하며, 곤충들에게는 마지막 남은 서식 공간이자 번식의 무대다.
곤충은 생태계 먹이사슬에서 핵심적인 종이며, 수분매개자, 분해자, 식량 공급자로서 도시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기후 변화, 도시화, 침입종의 도입 등의 요인으로 인해 이 중요한 곤충의 개체 수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도심 공원에서 실제로 관찰 가능한 주요 토종 곤충들을 소개하고, 그들이 도시 생태계에서 어떤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 우리가 왜 이 작은 생명체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는지를 살펴본다.

 

 도심 공원에서 만날 수 있는 대표적인 토종 곤충들

1. 호랑나비 (Papilio xuthus)

호랑나비는 도심 공원의 꽃밭, 유채꽃이나 제비꽃이 피는 구역에서 자주 관찰된다.
노란색과 검은 줄무늬가 특징이며, 수분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나비다.
도시에서는 점점 보기 힘들어지고 있으며, 나비의 개체 수는 도시 기후와 식생 상태를 반영하는 지표가 된다.

도심 공원 속에서 만나는 토종 곤충들

2. 왕사마귀 (Tenodera sinensis)

아스팔트 인근보다는 풀이 우거진 공원 가장자리나 생울타리 속에서 발견된다.
왕사마귀는 강한 포식자로, 곤충 다양성 조절자 역할을 수행한다.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포식자 곤충이 급감하고 있는데, 이는 도시 생태계의 불균형을 의미한다.

도심 공원 속에서 만나는 토종 곤충들

 

3. 하루살이류

하천이 흐르거나 물이 있는 공원에서는 하루살이, 날도래, 실잠자리 등의 곤충을 발견할 수 있다.
이들은 수질의 상태와 직결되는 곤충으로, 도심 내 수생 생태계 건강을 판단하는 주요 지표종이다.

 

도심 공원 속에서 만나는 토종 곤충들

4. 무당벌레 (Coccinella septempunctata)

무당벌레는 공원 나무 아래, 잎 사이, 또는 관목의 가지 끝에서 자주 보인다.
진딧물을 먹는 천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도시 내 친환경 해충 방제 역할을 한다.
공원마다 식생 상태에 따라 관찰되는 종 수가 달라진다.

도심 공원 속에서 만나는 토종 곤충들

 

 

도시 곤충이 우리 도시에 중요한 이유

1. 생태계 조절자이자 수분자

곤충은 식물의 수분을 돕고, 분해 활동을 수행하며, 조류와 포유류의 먹이로서 생태계의 순환을 유지시킨다.
이 중 하나라도 사라지면 도시 생태계는 균형을 잃게 된다.

2. 도시 환경 상태를 알려주는 지표

곤충의 개체 수와 다양성은 공원의 식생 상태, 기후 조건, 화학물질 사용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는 민감한 지표다.
특히 나비, 하루살이, 무당벌레는 도시 건강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종이다.

3. 기후변화 적응력과 진화 가능성

도시 곤충들은 극단적인 온도, 인공 구조물, 인위적 조경 등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면서 독특한 진화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이는 도시 생물학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

 

 우리가 할 수 있는 도시 곤충 보호 방법

  1. 공원에 자생식물 심기
    꽃 종류가 많고, 토종 식물이 있는 공원일수록 다양한 곤충이 서식한다.
  2. 살충제 사용 최소화
    공원 내 해충 방제는 물리적 방법(끈끈이 트랩 등)이나 천적을 활용한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다.
  3. 시민 참여 곤충 관찰 활동
    도시민이 직접 곤충을 관찰하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활동은 보전과 교육 모두에 효과적이다.
    실제로 서울시나 성남시 등에서는 시민 곤충 관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4. 곤충 호텔 및 미세서식지 설치
    작은 나무 더미, 잔디 구역, 통나무 같은 미세서식지 조성을 통해 도시 곤충의 서식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심 속 곤충은 자연의 마지막 연결고리

도심 공원의 곤충은 인간의 눈에는 작고 눈에 띄지 않을 수 있다. 어쩌면 하찮다고 느껴질 수도 있겠다.
하지만 곤충은 도시 생태계의 순환을 유지하고, 기후 변화 속에서도 새로운 생존 전략을 모색하며,
도시의 건강을 보여주는 살아있는 지표 역할을 하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해주고 있다.
지금 당장 도심 곤충을 이해하고 보호하지 않는다면, 도시는 점차 생물들의 다양성을 잃고 돌이킬 수 없는 단절 상태에 빠지게 될 수도 있다.
지속 가능한 도시의 미래는 작은 곤충을 보호하는 것에서 시작된다.